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크립토에 돌아온 메가 VC들

by mentalist1 2025. 4. 7.
반응형

 

💼 2024년,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 메가 VC들

2022~2023년은 크립토 업계에게 혹독한 크립토 윈터였습니다.
루나, FTX, 셀시우스 등 연이은 대형 사건으로 시장 신뢰가 붕괴됐고, 벤처 캐피탈(VC)들도
한동안 크립토 투자에 관망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 후반부터 메가 VC들의 자금이 다시 Web3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흐름은 2025년 상반기 들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죠.

🚀 어떤 VC들이 다시 크립토에 투자하나?

1. a16z (Andreessen Horowitz)

  • Web3와 GameFi 분야 중심으로 2024년 말부터 투자 확대
  • EigenLayer, Worldcoin, Farcaster 등 주도적 프로젝트에 초기 투자
  • 2025년에는 SocialFi, ZK 기술, RWA 분야로 눈을 돌리는 중

2. Paradigm

  • DeFi, ZK, AI x Blockchain 교차점에 주목
  • 최근에는 L2 확장성과 탈중앙 AI 인프라에 집중

3. Sequoia Capital

  • 이전보다 보수적인 접근이지만, 인프라 계층 중심으로 복귀
  • 모듈형 블록체인, L2 기술, 데이터 가용성 계층 등에 투자

4. Coinbase Ventures

  • 자사 생태계(Base 체인) 확장에 중점
  • Friend.Tech, Aerodrome, Avantis 등 주요 dApp 성장 지원

5. Multicoin Capital

  • Solana 생태계의 회복과 더불어 Solana 기반 프로젝트 대거 투자 재개
  • DePIN, GameFi 2.0 프로젝트 다수 발굴

📈 왜 다시 돌아오고 있나?

🔹 1. 시장 회복의 신호

  • 비트코인 ETF 승인 → 기관 자금 유입
  • 이더리움 ETF 기대감 → alt 시장 재활성화
  • 거시 경제 완화 기대 → 자산 시장 전반 상승 분위기

🔹 2. 기술 성숙 + 실제 사용 증가

  • zkRollup, 모듈형 블록체인, RWA 등 기술적 토대 안정화
  • Web3 앱 사용률 회복, Solana 등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 탈중앙 인프라 및 AI 응용 확산

🔹 3. "다음 사이클"의 선점 전략

  • 메가 VC들은 항상 2~3년 후를 보고 투자
  • 지금은 다음 불마켓을 위한 포지셔닝 시기
  • 경쟁력 있는 프로젝트를 저평가 상태에서 선점 가능

🧠 VC 자금은 어떤 분야에 집중되나?

  1. AI x 블록체인: 탈중앙 AI 인프라, AI 토큰화, AI 기반 DAO 운영 등
  2. DePIN: 실제 인프라와 연결된 Web3 물리 네트워크
  3. SocialFi / Web3 소셜: Friend.Tech, Farcaster 등 “온체인 소셜”의 부상
  4. GameFi 2.0: 실사용, 재미, 경제성 균형 맞춘 차세대 블록체인 게임
  5. RWA &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Ondo, Ethena 등 실물 경제 연결 프로젝트
  6. ZK 및 L2 인프라: 확장성 + 보안성 극대화를 위한 기술 투자

🔮 앞으로의 전망

  • 크립토 투자, 다시 메인스트림으로 진입 중
  • ✅ VC들은 단기 펌핑보다 “기술적 지속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평가
  • ✅ 강력한 팀, 현실 적용성, 토큰 경제 구조가 핵심 투자 지표
  • ✅ Web3의 진짜 성장기는 이제부터라는 공감대 확산 중

크립토 투자에 대한 VC들의 복귀는 단순한 “시장의 반등”이 아닙니다.
이는 블록체인이 더 이상 실험이 아닌 본격적인 디지털 경제 인프라가 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요약

  • 메가 VC들(a16z, Paradigm, Coinbase 등), 2024년부터 투자 재개
  • 시장 회복, 기술 성숙, 다음 사이클 선점이 주요 원인
  • AI, DePIN, SocialFi, RWA 등 실사용성과 기술력 있는 분야에 집중
  • 크립토 산업, VC 자금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성숙기로 진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