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Base 체인의 성장과 전망

by mentalist1 2025. 4. 7.
반응형

 

🏗 Base 체인이란?

Base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Coinbase가 개발한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 솔루션입니다.
Optimism의 OP Stack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이더리움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Coinbase는 수많은 고객을 보유한 만큼, Base를 통해 자사 생태계를 Web3로 확장하고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023년 메인넷 론칭 이후 빠르게 성장하며,
2024~2025년에는 Solana, Arbitrum, Polygon 등과 경쟁 가능한 레벨의 L2 생태계로 부상했습니다.

📈 Base의 주요 성장 지표

🔹 TVL(Total Value Locked)

  • 2024년 중반 기준, Base 체인의 TVL은 20억 달러 돌파
  • 이는 Arbitrum, Optimism에 이어 L2 중 3위권 수준

🔹 월간 사용자 수

  • Coinbase 앱과의 연동 덕분에 사용자 유입이 빠름
  • 2025년 초 기준, 월간 활성 지갑 수(MAU)는 300만 개 이상

🔹 대표 dApp 및 프로젝트

  • Friend.Tech: 소셜 토큰 플랫폼, 폭발적 성장
  • Aerodrome: Base 기반 탈중앙 거래소
  • Avantis, Seamless Protocol: DeFi 프로젝트 다수 성장 중
  • Onchain Summer 캠페인으로 NFT 및 크리에이터 생태계도 확장

🧱 Coinbase의 전략적 생태계 확장

Base의 핵심은 단순한 L2가 아니라 Coinbase 전체 생태계와의 통합에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Coinbase 지갑만으로도 Base 체인에서 간편하게 DeFi, NFT, dApp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inbase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Base 생태계를 전략적으로 확장 중입니다:

  1. Coinbase Wallet 연동 강화
  2. USDC 네이티브 발행 → 스테이블코인 결제 강화
  3. NFT, Web3 ID 시스템 구축
  4. dApp Onboarding 플랫폼 운영 중 (Base Ecosystem Fund 활용)

이처럼, Coinbase는 자체 유저풀을 바탕으로
일반 유저의 Web3 진입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있습니다.

🔍 왜 Base가 주목받는가?

  1. Coinbase 브랜드 신뢰도
    • 미국 내 규제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
    • 기관 유저와 일반 투자자 모두에게 신뢰 확보
  2. 빠른 사용자 유입 구조
    • 별도 브리지 없이 Coinbase 앱에서 바로 Base 체인 활용 가능
    • 탈중앙 경험 없이도 Web3 접근 가능
  3. 개발자 친화성
    • OP Stack 기반으로 이더리움 호환성 유지
    • 자체 생태계 펀드 운영 → 초기 프로젝트 유치 용이
  4. SocialFi, DeFi, NFT 균형 생태계 형성
    • 특정 분야에 쏠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기적으로 확장 중

🔮 Base의 미래 전망

  • 2025년에는 Base 체인 상의 TVL이 3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
  • 미국 기관 중심의 RWA (Real World Asset) 플랫폼 연동 가능성
  • Coinbase의 ETH ETF 승인 이후, Base 생태계와의 연계 강화 예상
  • Base 기반의 기업형 Web3 서비스 출현 가능성도 제기

또한, Base는 Coinbase Ventures와 연동되면서
향후 유망 스타트업 유치, 토큰화 금융 서비스 확대
다양한 영역에서 Web2와 Web3를 연결하는 허브로서 진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 요약

  • Base는 Coinbase가 만든 L2 체인으로, OP Stack 기반
  • 빠른 성장세와 탄탄한 생태계 구성으로 주목받는 중
  • Coinbase 유저 기반과 연동된 구조로 Web3 진입 장벽 낮춤
  • DeFi, NFT, SocialFi 등 균형 있는 생태계 형성
  • 2025년, Web3 인프라의 핵심 플랫폼 중 하나로 부상 예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