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eb3 소셜의 진화

by mentalist1 2025. 4. 7.
반응형

 

📱 Web2 소셜의 한계, 그리고 Web3의 등장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Facebook, Instagram, TikTok, X(구 Twitter) 같은 Web2 기반 소셜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이들 플랫폼은 사용자 참여로 성장하지만, 콘텐츠 소유권, 수익, 데이터는 모두 플랫폼이 독점합니다.

  • 사용자는 콘텐츠를 만들어도 수익의 대부분을 기업이 가져감
  • 활동 데이터는 모두 중앙 서버에 저장되고, 기업 이익에 활용
  • 알고리즘도 불투명하고 편향적일 수 있음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답으로 등장한 것이 **Web3 소셜 = SocialFi(Social + Finance)**입니다.

🌐 Web3 소셜이란?

Web3 소셜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사용자 중심의 소유권, 보상 구조, 탈중앙 알고리즘 등을 핵심 가치로 합니다.

주요 특징:

  • 콘텐츠 소유권: 사용자가 콘텐츠와 프로필을 온전히 소유
  • 토큰 보상: 활동, 창작, 커뮤니티 기여에 따라 토큰 보상
  • 분산 아이덴티티 (DID): 탈중앙 신원 인증 시스템
  • 오픈 프로토콜: 데이터 이식성과 상호운용성 제공

🔧 대표 Web3 소셜 프로젝트

1. Lens Protocol

  • Aave가 만든 Web3 소셜 그래프
  • 콘텐츠, 팔로우, 좋아요 모두 NFT로 기록
  • 하나의 계정으로 다양한 dApp 연동 가능

2. Farcaster

  • 탈중앙 소셜 인프라 플랫폼
  • 사용자는 custody wallet으로 계정 완전 소유
  • 다양한 앱들이 Farcaster 생태계에서 연결됨

3. Friend.tech

  • X(Twitter) 기반 ‘소셜 토큰 거래소’
  • 인플루언서와 팔로워 간 상호작용을 토큰화
  • 한때 DAU 10만을 넘으며 huge hype 발생

4. CyberConnect

  • 탈중앙 소셜 그래프 + 소셜 데이터 시장
  • 콘텐츠를 Web3에 온체인으로 기록하고 수익화

💬 Web3 소셜의 경제 구조

Web2는 트래픽을 이용해 광고 수익을 얻는 구조지만,
Web3 소셜은 콘텐츠 자체가 자산이 되고, 토큰을 통한 인센티브 구조가 중심입니다.

예를 들어:

  • 글을 작성하거나 좋아요/댓글을 달면 포인트 또는 토큰을 획득
  • 특정 인플루언서의 콘텐츠에 ‘스폰서링’을 하면 광고처럼 수익이 배분
  • 커뮤니티 기여 활동도 DAO 방식으로 보상 분배

이런 구조는 창작자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보상받는 참여형 소셜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 Web3 소셜의 미래는?

Web3 소셜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 인터넷의 진짜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환원
  • 🧬 **탈중앙 아이덴티티(DID)**와의 결합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 💰 토큰 이코노미 + DAO 결합으로 커뮤니티 중심의 성장
  • 📈 메가 VC들의 투자 집중으로 빠르게 성숙 중

앞으로는 Web2의 광고 중심 플랫폼과는 완전히 다른,
사용자 주도형 보상 기반 네트워크가 대세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요약

  • Web3 소셜은 콘텐츠의 소유권, 수익, 운영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시스템
  • Lens, Farcaster, Friend.tech 등 강력한 프로토콜 기반 생태계가 등장
  • 크리에이터 경제와 커뮤니티 중심 인터넷의 진화를 이끄는 핵심 분야

지금은 SocialFi의 초기이자 기회 구간입니다.
향후 Web3 시대의 TikTok, Instagram, Twitter가 이 영역에서 탄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